정전진단

개요

정전진단

정전 상태에서 전력설비 정밀 진단 및 점검으로 결함, 설비 문제점 등 사전 검출하여 고장 예방하고 전력설비 수명 평가 및 예측으로 설비 교체 적정시기를 판정해야 한다. 따라서, 정전상태 정밀 점검으로 사전에 사고를 예측하여 안정적인 전력설비의 운용을 제시해야 한다.

상세 업무내용
  • 계전기

– Protection Relay 진단

: 전력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Protection Relay의 동작 특성 시험과 보호시스템의 연동시험을 통한 회로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 전력설비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1) 최소 동작시험
4) 위상 특성시험

2) 동작시한 특싱시험
5) 차단기 연동시험

3) 비율 특성시험

  • 차단기

– 차단기 동작 특성시험

: 동작 특성시험은 KSC 4611, 8331에서 규정한 트립 성능 등 각종 개폐특성을 실시함으로써 개폐특성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데 목적이 있다.

1) 절연저항 측정
4) 접촉저항 측정

2) 수동개폐 조작시험
5) 투개폐 COIL 저항 측정

3) 개폐(CLOSE, OPEN) 특성 시험

– 차단기 접점마모 진단

: 접점 마모진단은 초 저항 측정을 하여 nΩ에서 mΩ까지의 아주 낮은 저항을 측정 할 수 있으므로 차단기 접속부의 접촉저항을 측정하여 상별, 기기별, 비교 분석하므로 기기에 대한 이상 유, 무를 판정 할 수 있다.

– 진공도 시험

: 진공차단기(VCB ; Vacuum Circuit Breaker)는 전로의 이상 발생 시 고진공 상태의 진공밸브 내에서 사고 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시켜야 하기 때문에 진공밸브의 진공도는 매우 중요하며, 진공도 시험을 통하여, 진공차단기의 차단성능 및 수명을 평가할 수 있다.

  • 변압기

– 변압기 유전정접(tanδ) 측정

: 변압기 유전정접(tanδ) 시험은 변압기 내부 절연물의 흡습, 오손이나 Void 등에 의한 유전체 손실을 측정하는 것으로 변압기 내부의 절연물 열화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 변압기 권선저항 측정

: 변압기의 절연열화에 의한 층간 단락, 권선의 변형 등이 발생하면 권선저항값이 변화되며,권선저항의 측정값과 제품 출고시 특성과의 변화량 및 3상 비교를 통해 권선의 열화정도를 진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변압기 %Z 변동시험

: 변압기 내부 단락사고 (층간 단락, 코일간 단락 등) 외부 단락사고(2차측 단락)가 발생하면 권선의 변형으로 인하여 임피던스가 변화한다. 그러므로 변압기의 %Z를 측정하여 변압기권선의 변형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 주파수응답(Sweep Frequency Response Analysis) 분석 진단

: 변압기 운송 중에 발생하는 충격이나 지진 등에 의한 변압기 권선의 변형, 내부의 구조적인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는 변압기 내부의 미세한 R-L-C의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주파수 응답 분석을 통하여 초기에 운송 전후, 설치 전후 등의 임피던스 변화량을 비교하여 고장유형을 찾아내는 진단이다.

– 회복전압(Recovery Volatage Method) 특성 진단

: 회복전압의 측정은 유침 절연지의 열화상태의 정보를 정확히 제공한다. 그 절연지의 성능은 변압기의 절연특성 변화와 사용수명에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어서 변압기 권선에서 발생할수 있는 주요문제를 예상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 콘덴서

– 콘덴서 용량 측정

: 콘덴서의 고유값인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고장유무를 판단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 고압콘덴서 NVS 동작시험

: NVS 란 3상 Condenser Bank 운전중 Condenser 내부소자의 절연파괴시 Condenser Bank 중성점의 전압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Condenser Bank 의 전단 차단기를 TRIP 시킴으로서 계통의 파급을 신속하게 차단하기 위한 전압 검출방식을 말하며 NVS의 중성점의 전압 발생시 차단기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뤄지는 지 보호장치의 작동여부를 확인 하는 시험이다.

 

  • CT 및 PT

– CT 및 PT 특성시험

: 주 회로에 대전류, 고전압을 계기나 보호계전기 회로에 사용하는 계기용변류기(CT) 및 계기용변압기(PT)에 대하여 첨단 진단장비를 이용, 특성상태를 분석하여 향후 전력설비의 효율적인 관리방안과 신뢰성을 향상 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 CT 진단
1) 포화특성 시험
2) 권수비 측정
3) 1,2차 위상각 측정
4) Ratio 측정
5) 절연저항 측정

∙ PT 진단
1) 권수비 측정
2) 권선저항 측정
3) 절연저항 측정

  • 피뢰기

– 피뢰기(LA, SA) 정밀진단

: 피뢰기의 누설전류를 측정하여 절연열화의 판정을 하며, 주기적인 측정과 Trand 관리를 통하여 전력계통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MOTOR

– 고압MOTOR 절연진단

: 절연특성시험은 아래와 같은 측정을 실시하여 절연열화를 진단ㆍ평가한다.

1) 절연저항시험(㏁)
2) 직류전류시험(P.I)
4) 유전정접시험(△tanδ)3) 교류전류시험(△I)
5) 부분방전시험(Qmax)(△I)
6) 권선저항 측정

– 전동기 회로 시험

: 전동기에 발생되는 열화, 소손에 따른 사고로 인해 생산량 감소 및 유지보수 비용 증가에 대비해 전동기의 주기적인 진단으로 결과에 대한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전력설비의 효율적 관리와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성극비(P. I) 시험

: 절연물의 흡습도, 불순물의 혼입이나 오손에 의한 절연열화를 측정하는 것으로 시험 전압을 인가하고 시간에 따른 전류의 변화량으로 결함을 판정한다.

– 절연내력 시험

: 절연저항 측정은 전기설비 고장의 대부분이 절연열화에 의한 원인이 가장 많으며, 절연열화의 진행상태를 검출하는 가장 보편적인 진단으로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여 누설되는 전류값의 크기에 따라 절연열화 상태를 진단하기 위함이다.

  • Cable

– 케이블 VLF(Very Low Frequency) 열화시험 진단

: DC가 아닌 낮은 주파수(0.1 Hz)의 AC 시험전압을 인가하여 케이블의 유전손실율을 측정하여 열화여부 판정하는 진단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