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계통분석

개요

전력계통 분석

전력계통의 규모가 확대되고 복잡해짐에 따라 신규 발전기 접속 및 발전기의 증설 사업은 전력설비과부하, 전압강하, 차단기 차단용량초과 및 발전기 과도불안정 등과 같은 다양한 기술적인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사회적 문제점들은 준공 지연, 계획 변경, 발전사업 취소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업추진부터 준공까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점들에 대한 정확한 검토와 합리적인 대책 강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전력계통 분석은 계통 구성요서(발전소, 송배전선로, 변전소, 수용가 등)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계통 모의하여 정적 및 동적인 특성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모의를 통해 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이상 현상에 대한 계통 구성 및 운용의 최적화 방안을 도출하며, 전력설비를 감시 보호하는 보호계전기의 최적 정정치 도출 등을 목적으로 신설 및 증설의 설계 또는 기존 전력계통의 수정/변경 단계에서 수행되는 중요한 기술 검토입니다.

상세 업무내용

발전소

– 고장전류산출

1) 임피던스맵 작성

2) 고장전류 분석 및 개선방안 검토

– 보호계전기 정정

1) 보호협조

2) 보호방식 선정

3) 정정기준 수립

4) 정정계산

– 전력기기 정격&용량 검토

1) 변압기

2) 차단기

3) Cable

4) 변성기(CT, PT, GPT, ZCT)

5) 발전기, UPS, 축전지용량

6) 기타 전력기기(피뢰설비, CONDENSER 및 직렬리액터 등)

– 아크 단락 위험성 분석

1) Arc Falsh Boundary

2) PPE (개인안전보호구) 선정

3) Arc Flash Warning Label 선정

– 전압강하 검토

1) 기동시 순간전압강하 검토

2) 개선방안 검토

– 전력조류 분석

1) 전력설비 과부하 검토

2) 모선전압 검토

3) 역률개선

– 고조파 분석

1)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 분석

2) 고조파로 인한전압,전류파형의 왜곡분석

– 전동기 기동상태 분석

1) 정적 전동기 기동해석

2) 동적 전동기 기동해석

– 전력계통 구성 적정성 검토

1) 과도안정도 검토

2) 최적 운영방안 검토

– 전력계통 보호 시스템 및 접지시스템 검토

1) 변압기 보호

2) 전동기 보호

3) 콘덴서 보호

4) 배전선로 보호

5) 계통접지 방식검토

플랜트/철도

– 전력조류분석

1) 전력설비 과부하 검토

2) 모선전압 검토

3) 역률개선

– 차단기 차단용량 분석

1) 고장전류 계산

2) 차단기 차단용량 분석

– 소내 발전기 과도안정도 분석

1) 주파수안정도 검토

2) 개선방안 검토

– 소내계통 신뢰도 개선방안 수립

1) 전력품질 향상 검토

2) 최적 운영방안 검토

– 기기정격 및 용량 검토

1) 변압기

2) 차단기

3) Cable

4) 변성기(CT, PT, GPT, ZCT)

5) 발전기, UPS, 축전지용량

6) 기타 전력기기(피뢰설비, CONDENSER 및 직렬리액터 등)

– 전력 계통구성 검토

– 보호계전기 정정계산

1) 보호협조

2) 보호방식 선정

3) 정정기준 수립

4) 정정계산

– 고조파 분석

1) 고조파로 인한 전압, 전류파형의 왜곡

2)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순간전압강하 검토

    1) 전압강하 시 기기 및 계통에 미치는 영향 검토

– 접지 System 검토

– 전동기 기동 분석

1) 기동시 순간전압강하 검토

2) 개선방안 검토

-소내계통사고 원인 분석

– 아크 단락 위험성 분석

1) Arc Falsh Boundary

2) PPE (개인안전보호구) 선정

3) Arc Flash Warning Label 선정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